Information

2026년 최저시급 10,320원 확정! 내 월급, 얼마나 오를까?

선나밍 2025. 7. 14. 15:39
728x90
반응형

 

 

 

 

2025년 7월 10일, 최저임금위원회는 2026년 최저시급을 10,320원(시간당)으로 결정했습니다.

이는 2025년 시급 10,030원보다 290원(2.9%) 인상된 금액입니다.

17년 만에 표결 없이 노·사·공익위원 합의로 결정된 것으로, 협의 과정의 상징성을 높였다는 평가입니다 .

 

 

 

📊 1. 핵심 수치 요약

구분 2025년 2026년 증감 및 인상률
최저시급 10,030원 10,320원 +290원, +2.9%
일급 (8시간) 80,240원 82,560원 +2,320원
월급 (209시간 기준) 2,096,270원 2,156,880원 +60,610원 (~2.9%)
 

✅ 2. 팩트체크 & 결정 배경

  • 인상률 2.9%, 올해 물가상승률(약 1.8%)보다는 높고, 2025년(+1.7%), 2024년(+2.5%)보다는 소폭 상향
  • 17년 만에 노·사·공익위원 합의 결정. 특히 노동계 일부(민주노총)는 불참했으나, 한국노총과 사용자위원이 합의
  • 고용노동부 고시는 2026년 1월 1일부터 시행 예정 

🎯 3. 주요 쟁점

  • 노동계 입장: 인상률이 여전히 ‘생활임금’ 기준에 못 미친다며 추가 인상 필요 주장.
  • 사업주·자영업자 부담: 인건비 상승으로 인해 경영 압박 우려, 특히 영세업체 중심으로 재정 지원 요구.
  • 정치·사회적 의미: 표결 대신 합의 결정은 ‘사회적 대화’ 상징으로 평가되나, 참여하지 않은 노동계 진정성 논란 존재.

 

💰 4. 체감 변화 예시

  • 알바생 A씨(주 20시간): 월급 약 429,200원 → 약 442,400원 (+13,200원 상승)
  • 정규직 B씨(주 40시간): 월 2,096,270원 → 2,156,880원 (+60,610원 증액) 

 

🔍 5. 부가 수당 변화

최저시급 상승으로 주휴수당 야간수당도 같이 인상됩니다.

  • 주휴수당 (8시간 기준): 80,240원 → 82,560원
  • 야간수당(1.5배): 15,045원 → 15,480원. 4시간 기준 야간수당은 60,180원 → 61,920원 

 

📌 6. 정부와 사회단체 입장

  • 고용노동부는 “합의 방식의 결정이 안정적인 사회적 대화를 반영했다”고 평가.
  • 한국노총은 “이번 인상이 고무적이나, 여전히 현실 임금에 못 미친다”고 제한적 평가 .
  • 민주노총은 불참 의사를 밝히며, “생활임금이 보장되는 수준일 때까지 개선 요구” 입장을 유지.

 

그렇다면 2026년 최저시급 인상에 대한 결과를 간편하게 볼 수 있도록 다시한번 요약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
큰 금액은 아닐지 몰라도 기쁜 소식이 아닐 수 없습니다.

 

🔚 요약 정리

  • 2026년 최저시급: 10,320원 (+290원, +2.9%)
  • 일급·월급: 82,560원 / 2,156,880원
  • 결정 방식: 노·사·공익위원 합의 (17년 만)
  • 쟁점: 인상률 논란 · 노동계 불만 · 사업주 부담
  • 체감 효과: 알바·정규직 월수입 약 13,200원~60,610원 증가, 수당 동반 인상
  • 향후 과제: 생활임금 기준 재조정·정책 지원 필요성 제기

 

728x90
반응형